연구 개요
연구 목적
본 연구는 러시아 석유 기업의 ESG(환경·사회·지배구조)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지속가능성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
연구 대상
- Rosneft (러시아 최대 석유기업)
- Lukoil (러시아 2위 석유기업)
- 분석 기간: 2018-2021 (4년간)
주요 기여점
- 기하평균 기반 ESG 통합지수 개발
- 연쇄대체법을 통한 요인별 기여도 분석
- 러시아 석유기업 ESG 성과 비교 평가
- 실무적 개선 권고사항 제시
연구 방법론 단계
1
지표 선정 (Indicator Selection)
ESG 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 지표들을 선별하고 분류
- 경제 지표: 수익성, 성장성, 안정성 관련 재무 지표
- 환경 지표: 온실가스 배출, 에너지 효율성, 환경 투자
- 사회 지표: 고용, 안전, 지역사회 기여도
2
데이터 수집 및 검증 (Data Collection & Validation)
공개된 기업 보고서 및 공식 통계를 통한 데이터 수집
- 연간 지속가능성 보고서 분석
- 재무제표 및 ESG 관련 공시자료
- 러시아 연방 통계청 공식 데이터
3
데이터 정규화 (Normalization)
서로 다른 단위와 스케일의 지표들을 비교 가능하도록 표준화
- Min-Max 정규화 적용: (x - min) / (max - min)
- 0-1 범위로 스케일 조정
- 이상치 탐지 및 처리
4
연쇄 대체법 (Chain Substitution Method)
각 지표가 전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
- 기준년도 대비 변화량 측정
- 각 요인별 기여도 분리 계산
- 상호작용 효과 제거
5
기하 통합 기법 (Geometric Mean Aggregation)
개별 지표들을 통합하여 종합 지수 산출
- 기하평균을 통한 가중치 적용
- 극값의 영향 최소화
- 균형잡힌 성과 평가
핵심 수학적 공식
정규화 공식
X_normalized = (X - X_min) / (X_max - X_min)
각 지표를 0-1 범위로 표준화
기하평균 공식
GM = ⁿ√(x₁ × x₂ × ... × xₙ)
n개 지표의 기하평균으로 통합지수 계산
연쇄대체법
Δy = f(a₁, b₀, c₀) - f(a₀, b₀, c₀)
각 요인의 순수한 기여도 분리
데이터 출처 및 신뢰성
주요 데이터 출처
- Rosneft 연간 보고서
2018-2021 지속가능성 및 재무 보고서
- Lukoil 연간 보고서
ESG 성과 및 재무 데이터
- 러시아 연방 통계청
산업별 벤치마크 데이터
데이터 품질 보증
- 공식 감사 완료된 재무제표 사용
- 국제 ESG 표준 준수 데이터
- 교차 검증 및 일관성 확인
- 이상치 탐지 및 처리 완료
연구의 한계
- • 4년간의 제한된 분석 기간
- • 러시아 석유 기업 2개사로 한정
- • 공개된 데이터에 의존한 분석
- • 정성적 요인의 정량화 어려움
향후 연구 방향
- • 분석 대상 기업 및 기간 확대
- • 산업 간 ESG 성과 비교 연구
- • 실시간 ESG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
- • AI 기반 ESG 예측 모델 구축
ESG 성과 대시보드
시각화된 분석 결과와 인터랙티브 차트를 확인하세요.